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치료법으로, 일부 환자에게 가슴을 절개하지 않고, 대퇴부혈관을 통해 심장 안으로 접근하여 심실중격결손을 특수한 기구로 막습니다. 섬유주(trabecular) 혹은 우심방을 통한 수술이 어려운 심첨부에 위치한
근육형 심실중격결손 환자에게 적용 가능합니다.
또한 전신상태가 나쁘거나 심폐우회술이 불가능한 성인환자에서 결손의 위치와 모양이 적당한 경우 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막성 심실중격결손 중 삼첨판막조직에 의해 중격결손이 일부 감싸진 형태의 경우 수술하지 않고 기구로 막을 수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
[시술전]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에 막성 심실중격결손이 잘 관찰됨
[시술 후]
막성 심실중격결손을 기구로 막은 모습. 기구 주위로 단락이 보이나 시간이 지나면서 단략양이 감소함.
선택진료
선택진료란?
환자 또는 보호자가 특정한 의사를 선택하여 진료를 받는 제도로서, 선택(특진, 지정) 진료를 받으시면 보건복지부령에 정하는 범위에 추가 진료비를 본인이 부담하시면 됩니다. (보건복지부령 174호 제5조 3항 관련)
선택(지정,특진) 진료 대상 의사는 어떤 자격이 있나요?
선택(지정,특진) 진료 대상 의사는 해당 진료과의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10년이 경과 하거나, 대학병원의 조교수 이상의 자격을 갖춘 의사입니다.
선택(지정,특진)진료의 보험 혜택 여부는?
보건복지부의 추가 비용 항목과 산정 기준에 따라, 선택(지정,특진) 진료는 보험 혜택 없이 비용을 환자가 전액 본인 부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