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심장병의 종류
- 엡스타인기형
-
엡스타인기형(Ebstein’s anomaly)은 삼첨판막에 생기는 선천성 심장 기형으로, 3개의 삼첨판막엽 중 중격엽과 후엽이 원래의 판막륜에 부착되지 않고 그 아래, 즉 우심실 쪽으로 과도하게 전위되어 부착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1866년에 Wilhelm Ebstein은 청색증을 보이는 19세 환자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한 후 심장을 부검해 그 이상 소견들을 기술하였습니다. 엡스타인 기형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모든 선천성 심기형의 1% 미만을 차지합니다.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장기 생존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흔한 사인들은 심부전, 저산소증, 부정맥 등입니다.
- 엡스타인 기형은 삼첨판막 및 우심실의 기형으로 판막엽과 우심실 벽이 서로 유착되어 있고, 중격엽과 후엽이 우심실 하방벽에 붙어 우심실 일부가 심방처럼 변하는 심방화된 우심실이 관찰됩니다.
- 삼첨판막 전엽은 크고 갈라져 있으며 우심실 전벽에 유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해부학적 판막륜이 확장되어 있습니다.
-
삼첨판막의 중격엽과 후엽은 정상 판막윤 위치(검은색 점선)가 아닌 심첨부 쪽으로 하방 전위되어 붙어 있음(노란색 점선). 실제 판막이 붙은 위치와 정상 판막윤 사이의 우심실은 심방처럼 변해서 심방화 우심실(atrialized ventricle)이라 합니다.
엡스타인기형 - 기형의 심한 정도
엡스타인 기형의 심한 정도
Carpentier 등은 엡스타인 기형을 우심실 및 삼첨판막의 발달정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Carpentier type A, B | Carpentier type C, D |
---|---|
판막성형술 | 우심실 기능 일부 혹은 포기 |
-
삼첨판막의 중격엽과 후엽이 심첨부로 전위되어 있지만 비교적 판막 조직의 발달이 양호험 (성형수술이 가능한 모양) - Carpentier type A에 해당
-
삼첨판막의 대부분의 판막이 우심실 벽에 유착되어 있고, 우심실 벽이 얇아져 낭(sac)처럼 되어 수축능력이 떨어져 있어 우심실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모양임.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의 혈류 장애도 예상됨. - Carpentier type D에 해당